항산화 기능성 원료에는 영양소로서 β-카로틴, 비타민C, 비타민E, 구리, 셀레늄, 망간이 있으며, 페놀류에는 녹차 추출물, 프로폴리스 추출물, 코엔자임 Q₁₀ 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터핀류와 개별인정형 원료들도 있습니다. 오늘은 페놀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녹차 추출물

차는 차나무잎을 우려낸 음료로 발효 정도에 따라 녹차, 반발효차, 발효차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 녹차는 전혀 산화되지 않아 녹색이 도는 차를 의미합니다. 녹차는 아주 오래전부터 기호식품 및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음용되어 왔으며, 항산화, 항암 등 건강증진에 유익하다는 것이 알려져 소비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녹찻잎의 75~80%는 수분이고, 나머지가 고형물로 폴리페놀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폴리페놀화합물 중 주성분은 플라보노이드인 카테킨이며, 에피, 에피카테킨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가 대표적입니다. 이 중에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의 함량이 가장 많아 전체의 50~60%를 차지하며, 생리활성이 가장 높습니다.
녹차 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녹찻잎을 물 또는 주정, 초산에틸로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해야 하며, 기능성분인 카테킨을 200mg/g 이상 함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때 카테킨은 EC, ECG, EGC, EGCG의 합계량으로 환산하며 4가지 카테킨이 모두 확인되어야 하지만 최종제품의 경우 4가지 카테킨을 모두 확인할 필요는 없습니다.
실제로 인체적용시험에서 하루 1~6잔의 녹차는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키며, 혈액에서의 항산화효소 활성이 2~4% 증가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습니다. 시험관 내 시험에서는 TRAP 시험법을 통해 녹차를 섭취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이 50%, TRAP 시험법을 통해 항산화 활성이 76%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TEAC을 측정한 결과 항산화 활성을 12% 증가시켰습니다. 녹차의 카테킨과 폴리페놀은 체내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ROS와 질소종을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동물실험에서도 녹찻잎의 폴리페놀을 식수로 섭취하게 하였을 시 간과 소장에서의 GST 활성이 증가되었습니다.
녹차 추출물의 기능성 내용은 ‘항산화 체지방 감소,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이며, 일일 섭취량은 카테킨으로서 0.3~1g입니다. 녹차 추출물의 경우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어 초조감, 불면 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프로폴리스 추출물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각종 나무로부터 채취한 수액과 자신의 타액 및 효소분비물을 혼합하여 만든 갈색수지상의 물질입니다. 프로폴리스의 구성성분은 180가지가 넘으며 폴리페놀이 주요 성분입니다. 주요 폴리페놀은 플라보노이드이며 그 외 페놀산과 그 에스터류, 페놀성 알데하이드, 케톤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휘발성유와 방향산, 왁스, 수지, 향유, 꽃가루 등으로 마그네슘, 니켈 등 필수 금속원소를 풍부하게 함유합니다.
프로폴리스를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로폴리스에서 왁스를제거하고 물, 주정 또는 이산화탄소로 추출하여 제조해야 하며, 디에틸렌글리콜은 사용하여서는 안됩니다. 또한 프로폴리스의 기능성분인 총 플라보노이드를 10mg/g 이상 함유하고 있어야 하며, 파라 쿠마르산 및 계피산이 존재해야 합니다.
프로폴리스의 대표적인 구성성분은 플라보노이드이며, 플라보노이드는 항알레르기, 항염증, 항산화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습니다. 프로폴리스의 항산화활성에 기여하는 성분은 플라보놀성분의 일종인 갈란긴과 페놀성 수지인 카페익산 페네틸 에스테르로 나뉩니다. 갈란긴은 화학물질에 의한 유전자 독성을 억제하고 효소활성을 조절함으로써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며, CAPE는 항염작용, 면역조절작용, 세포증식 억제작용, 항산화 활성을 갖습니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기능성 내용은 ‘항산화, 구강에서의 항균작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이며, 일일 섭취량은 총 플라보노이드로서 16~17mg입니다.
코엔자임 Q₁₀
코엔자임 Q₁₀은 세포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대사물질입니다. 코엔자임 Q₁₀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그로박테륨 투메파시엔스, 파라 콕커스 데니트리피칸스,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등 유비퀴놀을 생산하는 미생물의 배아산물을 헥산, 아세톤, 아이소프로필알코올, 초산에틸로 추출하고 이를 농축 또는 정제하여 제조해야 합니다. 또한 코엔자임 Q₁₀을 980mg/g 이상 함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코엔자임 Q₁₀은 LDL 산화에 대한 항산화작용이 동물실험과 시험관 내 시험을 통해 작용기전까지 밝혀진 바 있습니다. 코엔자임 Q₁₀을 섭취한 성인의 경우, 항산화 활성 향상 및 혈중 코엔자임 Q₁₀ 함량이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코엔자임 Q₁₀의 인정등급은 생리활성기능 2등급입니다. 코엔자임 Q₁₀의 기능성 내용은 ‘항산화, 높은 혈압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입니다. 안전성과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일일 섭취량은 코엔자임 Q₁₀으로서 90~100mg이며, 코엔자임 Q₁₀의 가용화분말로서 270~300mg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