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당 조절 기능성 원료, 바나바 잎, 구아바 잎, 피니톨, 타가토스

혈당 조절 기능을 하는 원료는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바나바잎 추출물, 구아바잎 추출물, 피니톨, 참밀알부민, 타가토스 등이 있는데, 이러한 원료들이 어떤 기능으로 혈당 조절을 하는지 각각 원료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은 체내 아밀레이스에 의해 소화가 어려운 말토덱스트린을 의미하며, 주로 국내에서는 식이 섬유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옥수수 전분을 이용하여 열 및 효소 처리하여 가공되며, 체내 아밀레이스에 의해 소화가 어렵기 때문에 소장에서의 통과 시간을 지연 시키거나 섭취한 당의 흡수를 방해하여 식후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일일 섭취량 11.6~44g 만족 시 ‘식후 혈당 상승 억제’에 관한 기능성을 표기할 수 있습니다.

바나바 잎 추출물


바나바는 동남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습니다. 바나바 잎에는 혈당을 저하 시키는 코로솔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코로솔산은 GLUT-4의 세포막 근처로의 이동을 촉진하여, 세포 내로 혈당의 유입을 증가 시키게 됩니다. 바나바잎은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코로솔산으로 0.45~1.3mg 일일 섭취량 만족 시 ‘식후 혈당 상승 억제’에 관한 기능성을 표기할 수 있습니다.

구아바 잎 추출물


구아바와 구아바잎



구아바는 열대 지역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폴리페놀성분인 β-크립토잔틴, 루비잔틴, 크립토플라빈, 루테인 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구아바잎 내 폴리페놀은 췌장 β-세포의 산화를 방지하고, 세포를 활성화 시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작용을 합니다. 구아바 잎은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총 폴리페놀로서 120mg 일일 섭취량 만족 시 ‘식후 혈당 상승 억제’에 관한 기능성을 표기할 수 있습니다.

피니톨


피니톨이 들어 있는 콩



피니톨은 대두 등의 두류 식품에 풍부하게 포함된 천연 이노시톨입니다. 카이로이노시톨은 인슐린의 주요 신호 전달체인 이노시톨 포스포글리칸의 핵 구성성분으로 제2형 당뇨 환자의 경우 소변으로 배출되어 정상인에 비해 현저히 적습니다. 카이로이노시톨 결핍 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 됩니다. 피니톨은 카이로이노시톨로 전환되어 조직에서 인슐린 신호 전달체계를 촉진 시킵니다. 일일 섭취량은 피니톨로서 1.2g입니다.

참밀알부민


알부민이 들어 있는 밀



밀의 수용성 단백질 중 0.19의 위치에 피크가 나타나는 알부민을 0.19-알부민이라 명명하였습니다. 0.19-알부민은 식품으로 섭취한 전분의 소화과정에서 α-아밀레이스의 효소 활성을 저해하여 전분의 소화·흡수를 느리게 하기 때문에 식후 혈당 상승을 완화 시킬 수 있습니다. 일일 섭취량은 참밀알부민으로서 1.2~1.5g이며, 식사와 함께 1일 3회 섭취합니다.

타가토스


타가토스가 들어 있는 카카오



타가토스는 과당의 이성질체로서 과일, 카카오, 유제품 등에 소향으로 존재하는 천연 감미료입니다. 천연의 젖당을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가수 분해하고, 갈락토스 효소 처리를 통해 상업적으로 생산됩니다. 질감은 설탕과 유사하고, 단맛 정도도 유사하지만, 혈당지수는 3입니다.

간내 글리코겐 합성을 통해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며, GLP-1 자극을 통해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여 과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혈당 상승을 억제합니다. 일일 섭취량은 D-타가토스로서 5~7.5g입니다.

Tip 혈당지수


  • 표준 탄수화물(순수 포도당) 섭취 후 혈당 상승 정도를 100이라고 하며, 같은 양의 식품 섭취 후 혈당 상승 정도를 비교한 값을 혈당지수(GI)라 말합니다.
  • 혈당지수가 높은 경우 식후 혈당을 빠르게 상승 시킵니다.
  • 혈당지수는 동일한 식품이어도, 개인별 차이가 크고, 조리방법, 식품의 형태, 혼합식의 경우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고시형개별인정형
구아바잎 추출물, 바나바잎 추출물, 달맞이꽃종자 추출물, 구아검/구아검가수분해물, 난소화성말토데스트린, 대두식이섬유, 밀식이섬유, 옥수수겨식이섬유, 이눌린/치커리 추출물, 호로파종자식이섬유피니톨/피니톨분말, 홍경천 등 복합 추출물, 솔잎증류농축액, 콩발효 추출물, 알부민, 노팔 추출물, 동결건조누에분말, 지각상엽 추출혼합물, 서목태(쥐눈이콩) 펩티드복합물, 인삼가수분해농축액, 마주정 추출물, 타가토스, 실크단백질효소가수분해물,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상엽 추출물, 계피 추출분말, L-아라비노스
혈당조절 기능성원료 현황(2018년 12월 기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